About
'Blockchain Shorts' consists of 4 images and 4 short paragraphs.
It covers blockchain and digital assets. :+1:
You can check a variety of topics on the left menu! :smiling_face_with_smiling_eyes_and_hand_covering_mouth:
contact: sw79899@gmail.com
garynoh changed 2 years agoView mode Like Bookmark
소개
<블록체인 & 디지털 자산 네컷글>은 4개의 이미지와 4개의 단락으로 이뤄진 짧은 글입니다.
주로 블록체인과 디지털 자산에 대한 이야기를 다룹니다. :+1:
왼쪽 메뉴에서 다양한 네컷글을 만나세요! :smiling_face_with_smiling_eyes_and_hand_covering_mouth:
contact: sw79899@gmail.com
garynoh changed 3 years agoView mode Like Bookmark
왜 블록체인인가
들어가며...
지금 인터넷 환경의 한계
해결책으로서의 블록체인
마치며.
들어가며...
지금의 인터넷 환경은 단일 중개자 또는 단일 플랫폼 중심의 인터넷 환경이다. A 와 B 가 거래를 할 때 항상 C 라는 중개자를 통해야 한다. 숙박 서비스, 차량 공유 서비스, 금융 활동, 중고 거래, 배달 등 어떤 사업이든 상관없이 거의 대부분의 산업에서 생산자와 소비자는 플랫폼을 통해야 한다. 편리한 서비스를 사용하는 대가로 생산자와 소비자는 중개자에게 수수료를 지불하고, 이렇게 벌어들인 수수료와 광고비로 플랫폼 기업들은 성장해왔다. 이 과정에서 크게 성공한 몇몇 기업들은 흔히 이야기 하는 빅테크 기업이 되었다.
garynoh changed 3 years agoView mode Like Bookmark
서론
메타콩즈는 이두희라는 유명한 개발자와 그가 이끄는 ‘멋쟁이 사자들처럼’ 이라는 개발 교육 관련 기업이 참여하고, 카카오의 자회사인 그라운드 X에서 개발한 ‘클레이튼’ (Klaytn) 이라는 블록체인 위에서 개발된 NFT 이다.
메타콩즈의 모태는 사이버 콩즈이다. 메타콩즈의 비즈니스 모델은 ‘사이버 콩즈’ 라는 해외의 성공한 NFT 프로젝트의 비즈니스 모델과 매우 흡사하다. 간단히 사이버 콩즈에 대해서 설명하면 사이버 콩즈는 맨 처음에 총 5천개의 고유한 특성을 가진 NFT로 시작했다. 각각의 NFT 는 ‘제네시스 콩즈’ 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사이버 콩즈 생태계의 기반 (또는 근본) 이 되는 NFT 라고 볼 수 있다. 이 말은 즉, 다른 NFT 도 발행이 되었다는 것인데, 바로 Baby Kongz (베이비 콩즈) 와 VX Kongz (복셀 콩즈) 가 대표적이다.
Opensea 에서 거래 중인 사이버 콩즈들
베이비 콩즈는 제네시스 콩즈에서 파생된 콩즈로, 제네시스 콩즈 2마리를 보유하고 있으면 하나의 베이비 콩즈를 만들 수 있는 구조이다. 이 때, 바나나 코인이라는 것이 소모되는데, 바나나 코인은 시장에서 구입을 하거나, 제네시스 콩즈를 보유함으로써 매일 10개씩 최대 10년까지 생성이 된다. 복셀 콩즈는 메타버스 생태계에서 활동할 수 있는 복셀 형태의 전신 콩즈를 의미한다. 2D 로 제한되어있는 콩즈를 3D 환경으로 확장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Defi 란 탈중앙화된 금융 (Decentralized Finance) 을 의미하고, 주로 탈중앙화된 거래소 (Dex, Decentralized Exchange) 가 대표적인 Defi의 예시라고 볼 수 있다. 기본적으로 Defi 시스템의 핵심은 유동성 풀 (Liquidity Pool) 이다. 유동성 풀이란, 공급자 (Liquidity Provider) 가 A 코인과 B 코인을 1대1의 동일한 비율로 A-B pair 형태로 제공(예치)하면, 그 풀에서 소비자가 본인이 보유하고 있는 코인과 필요한 코인을 교환(스왑)한다. 쉽게 이야기하면, 달러와 원화가 일정한 크기의 풀(Pool)에 담겨져 있고, 그 풀 안에서 코인을 필요로 하는 사람과 코인을 공급하고자 하는 사람이 만나서 교환 거래를 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풀 안에서의 코인의 시세는 한 쪽 풀에 담겨져 있는 코인의 수량과 다른 쪽 풀에 담겨져 있는 코인의 수량의 비율에 따라서 결정이 된다. 한 예로, 초기에 A코인과 B코인이 각각 100개씩 담겨져 있다고 가정해보자. 초기에 A와 B 코인의 비율은 1대1이지만, A 코인의 수요가 높아져서 사람들이 50개의 B코인을 50개의 A 코인과 교환해갔다. 이 경우 A 코인은 50개만 남고 B 코인은 150개가 된다. 이제, A 코인 1개는 B 코인 3개의 가치를 갖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그 다음에 온 사람은 A 코인 50개를 가져갈 때, B 코인 150개를 예치하고 가야한다. 이렇듯 풀 안에 있는 코인의 비율에 따라서 가격이 형성되는 것이 Defi의 핵심이다.
Defi의 핵심인 Dex는 어떤 수익 모델을 가지는 구조일까? Dex는 유동성 풀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사람들의 예치를 하는 공급자를 필요로 한다. 그렇기 때문에 예치를 하는 사람들에게 일정량의 이자를 지급하는데, 이 이자율 또한 풀의 수요/공급에 따라 결정된다. 이때 공급자에게 주어지는 이자는 거래소의 토큰으로 주어진다. 예를 들어, 중앙화 거래소인 Binance 의 경우도 Liquidity Swap 이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유동성 풀 공급자에게 보상으로 BNB (바이낸스 코인) 가 주어진다. 이것은 중앙화된 거래소 뿐만 아니라 탈중앙화된 거래소에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보상을 제공한다. 대표적인 Defi 서비스인 Uniswap은 유동성 풀 공급자에게 Uniswap 토큰을 이자로 제공한다. 이 외에 탈중앙화 거래소(Dex)는 Uniswap, Aave, KlaySwap, PancakeSwap, SushiSwap 등이 있다.
Defi 1.0의 예시들
유동성 풀이 동작하는 방법
Dex 예시들 (Curve, Uniswap …)
garynoh changed 3 years agoView mode Like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