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1028 회의록 ## 오늘 해야할 일 * `10:00 ~ 12:00` : 멘토님께 기획 피드백 * 피드백 바탕으로 수정 수정 수정 * 디자인 완성 * 기획서 완성 * ~~금요일 기획 공유 준비 ( 시간에 따라서 금요일 아침에 진행해도 될 듯 )~~ ## 멘토님의 조언 * 4주라는 시간이 생각보다 짧아서 동시 편집을 제외해도 기획한 기능들이 적은 편은 아니다. * 둘이 이용한다는 것은 좋으나 작성은 혼자하고, 리스트는 같이 볼 수 있는 형식으로 진행하면 좋겠다. * 같이 본다는 것이 들어가면 로컬 저장이 들어가는게 아니고 서버 저장이 들어가는건데 거기에 에너지를 쏟게되면 iOS프로젝트 자체보다는 백엔드 프로젝트가 아니기 때문에 너무 여기에 집중하지 않았으면 한다. * 매주 초마다 역할 분담을 하게 되면, 계획표가 뒤쪽에 몰리게 될 수도 있다.주 단위로 뭘 할 건지를 미리 정하는 것이 좋다. 예상이 안되더라도 어느정도 걸릴 지 Week 별로 나누고 시간 예상해보는게 좋다. 본인이 하고 싶은 화면을 얘기해보는 것도 좋다. * 4명이서는 현실적으로 한 화면을 작업하는 건 어려울 지도.. * 지금 기획 테스크만 나온 상황이라서 클린 아키텍쳐, MVVM 같은 기술 스택을 정해 보는게 좋을 것 같고 4주 동안 이번주는 어떤 개발 들어갈 계획도 정해서 발표를 하면 좋겠다. * 외부 라이브러리가 아니고 UrlSession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듯, 내부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만드는 담당자가 있는 것이 좋겠다. -> 이것도 하나의 테스크로 만들기 * 현업의 플로우는.. * 기획자가 ppt나 독스로 개발해야될 내용을 작성해 오면 * 그걸 공유받는 기획자리가 있고 * 그걸 개발자들끼리 모여서 일정 산정을 하고~ 어느정도 걸릴 것 같다 * 최종적인 기획에는 개발이 들어간다. * github에 개발일정은 좋은 아이디어 같다. * 개발하면서 가장 까다로운 상황이 user input을 받는 것인데, pencilkit이 아니더라도, textfield user input받는 것이 엄청 큰 테스크로 생각하는게 좋을 것이다. * 이 서비스를 출시하는게 목적이 아니고 기능 하나를 알아도 정확히 구현하는게 좋을 것이다. * '어 이게 되네' < 절대 금지!! * 공유, 편집 < 이 두가지가 메인 컨셉 * 엄청 많은 양임. 엄청!! 많은 양임!!! * 위젯은 좋은 도전이 될 것 같다. * 위젯에도 사이즈가 엄청 많으니까 어떤 사이즈로 어떤 구성으로 더 구체적으로 제공하기 * 클론 앱을 하는 것도 좋다., 그 앱을 사용해 보면서 기능이 명확하게 나오니까.. 무다를 참고를 했으니까 기능이 고민되는게 있으면 다른 앱에 있는 기능을 똑같이 레퍼런스를 차용해 보는 것도 좋다. * 여러 상황을 그려보는 것이 좋다. 예상치 못한 상황이 있을 지도 모르니까 * 시나리오를 기술적인 면으로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해보는 것이 좋을듯.. * 식별코드를 가져오는 API, 식별코드 가져올 API, 현재 상태를 가져올 수 있는 API, 등 서버를 통신할 API를 기능을 보면서 적어가는 것이 좋을 것이다 * 서버에 이미 사용자가 등록되어 있는 검증을 진입 때마다 정하는 게 좋다. * 필터를 씌운다 < 이 부분도 구체화 하면 좋을 것 같다. * API 실패 케이스도 생각해야한다. * 페이지 저장에 대한 스토리가 없다. * 매주 수요일 8시 강남에서 멘토님과의 만남 (저녁먹고 만나기) ## 공유하는 시나리오 레퍼런스 * duck-z * 투다 - 너와 함께 오늘을 만든다. || 무다 | 덕지 | 투다 | 메몽 | |:-:|:-:|:-:|:-:|:-:| | 포커스 |매일의 기분을 모아보여주기(캘린더) | 공유일기 (턴제로 돌아감) | 공유일기 (공유에 대한 제어가 부실) | 꾸미기에 진심 | 결론 : 무다의 디자인에 투다의 방식에 메몽의 자유도 ## 디자인 완성 & 다시 백로그 더 상세하게 🔥 23:00에 종료.. 🔥 [Figma](https://www.figma.com/file/ZQsVay7LA99NUV7sSlyBGG/%EB%94%94%EC%9E%90%EC%9D%B8?node-id=7%3A2) [BackLog](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4ETWTOQMzaR63aBryVMFjZjydoQwMfchscMhEh2u-3E/edit?usp=sharing) ## Framework, 기술 스택 정하기 - `Combine` - `CoreData` - `Kingfisher` - `SnapKit` - `SwiftUI` ## 아키텍쳐 정하기 VIPER 에 도전한다. [RayWenderlich : VIPER](https://www.raywenderlich.com/8440907-getting-started-with-the-viper-architecture-pattern) ## 기술적 도전 - Combine을 활용한 Reactive 프로그래밍 - VIPER 아키텍쳐 구현 - WidgetKit과 SwiftUI를 통해 위젯 구현 - 4명의 인원이 유기적인 협업 진행